내용 바로 가기

청소년은 묻는다

어떻게 내 사생활을 존중받을 수 있을까?

어떻게 내 사생활을 존중받을 수 있을까?

 부모님은 왜 자꾸 내 생활에 간섭하실까?

 부모님은 걱정이 되어서 그런다고 말씀하시지만 당신은 사생활 침해라고 느낍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 보십시오.

  •   에린이라는 십 대 청소년은 이렇게 말합니다. “아빠는 제 폰을 가져가셔서는 비밀번호를 알려 달라고 하세요. 그러고는 문자 메시지를 다 읽어 보시죠. 제가 보여 드리지 않으려고 하면 뭔가 숨기고 싶은 게 있어서 그런 거라고 생각하세요.”

  •   20대 초반인 더니즈는 십 대 시절에 어머니가 자신의 휴대폰 요금 명세서의 통화 기록을 일일이 검사하셨던 기억을 떠올리며 이렇게 말합니다. “엄마는 전화번호를 하나하나 살펴보시면서 누구 번호이고 통화하면서 무슨 얘길 했는지 꼬치꼬치 캐물으셨죠.”

  •   케일라라는 청소년은 어머니가 자신의 일기를 읽으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어떤 기분이 들었는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일기 속에는 제 속마음을 자세히 쓴 내용도 있고 엄마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어요! 그래서 그다음부턴 아예 일기를 쓰지 않았죠.”

 기억할 점: 부모에게는 자녀를 돌봐야 할 책임이 있으며 그 책임을 어느 정도로 엄격하게 이행할지는 당신이 결정할 문제가 아닙니다. 때때로 부모의 간섭이 지나치다고 느낄 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자신이 어떻게 생활하는지 감추려고 하지 않는다. 성경은 우리에게 “모든 일에서 정직하게 처신”하라고 권합니다. (히브리서 13:18) 부모님을 대할 때도 그렇게 하려고 노력해 보십시오. 부모님에게 자신의 생활에 대해 스스럼없이 솔직하게 이야기한다면, 부모님은 당신의 사생활을 더욱더 존중해 주실 것입니다.

 생각해 볼 점: 나는 평소에 부모님이 믿을 만하게 행동해 왔는가? 부모님이 정하신 귀가 시간을 잘 지키는가? 내가 사귀는 친구들에 대해 부모님께 감추고 있는 점은 없는가? 무슨 일을 하는지 숨기지는 않는가?

  “어느 정도 타협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제가 어떻게 지내는지 솔직하게 말씀드리는 편이에요. 부모님이 알고 싶어 하시는 건 다 말씀드리니까, 부모님도 저를 믿고 제 사생활을 존중해 주세요.”—딜리아.

 꾸준히 노력한다. 성경에서는 우리가 “행실을 훌륭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알려 줍니다. (베드로 전서 2:12) 신뢰를 쌓는 데는 한 번의 훌륭한 행실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훌륭한 행실을 계속 유지해야 부모님의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시간이 걸리기는 하지만 분명 가치 있는 일입니다.

 생각해 볼 점: 부모님에게도 십 대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점을 생각해 볼 때, 그분들이 왜 당신의 생활에 관심을 갖는 것 같습니까?

 “부모님은 청소년 시절에 그분들이 했던 실수를 우리가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라시는 것 같아요.”—대니얼.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 본다. 부모님의 관점에서 생각하려고 노력해 보십시오. 성경에서는 훌륭한 어머니는 “집안일을 두루 살피며” 좋은 아버지는 자녀를 “여호와의 징계와 인도”로 양육한다고 알려 줍니다. (잠언 31:27; 에베소서 6:4, 각주) 당신의 생활에 관여하지 않고 부모가 훌륭하게 자신의 책임을 다할 수 있겠습니까?

 생각해 볼 점: 당신이 부모라고 가정해 보십시오. 십 대 시절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으로서, 당신은 아들이나 딸에게 아무것도 묻지 않고 무조건 사생활을 존중해 줄 것입니까?

  “청소년 시절엔 부모님이 내 사생활을 침해한다는 생각이 들죠. 하지만 성인이 되고 나니까 부모님이 왜 그러셨는지 이해가 되더라고요. 사랑하니까 그러시는 거죠.”—제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