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청소년은 묻는다

어떻게 하면 부정적인 생각을 안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부정적인 생각을 안 할 수 있을까?

 나는 어떤 사람일까?

  •   낙관적인 사람

     “되도록이면 마음을 편하게 갖고 즐겁게 살려고 노력해요. 굳이 얼굴 찡그리며 살 필요는 없잖아요?”—밸러리.

  •   비관적인 사람

     “전 좋은 일이 생겨도 일단 의심부터 하는 성격이에요. 그럴 리가 없다거나 분명히 뭔가 잘못된 게 있을 거라는 생각을 먼저 하죠.”—리베카.

  •   현실적인 사람

     낙관적인 사람은 실망하기 쉽고, 비관적인 사람은 하루하루가 불행하죠. 그래서 나는 현실적인 생각을 갖고 뭐든지 있는 그대로 보려고 해요.”—애나.

 이 문제가 중요한 이유

 성경은 “마음이 흥겨운 이에게는 매일이 잔칫날”이라고 말합니다. (잠언 15:15) 분명, 불필요하게 부정적인 생각을 하지 않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이 더 행복하게 살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그런 사람 주위에는 흔히 친구들도 더 많습니다. 사람들은 비관적이고 어두운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긍정적인 사람이라도 다음과 같은 현실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   뉴스에서는 전쟁, 테러, 범죄에 대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들려옵니다.

  •   가정 내에서 이런저런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   자신의 약점이나 결점과 싸워야 합니다.

  •   가까운 사람에게 상처를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어떤 사람들은 외면하는 쪽을 선택하고 어떤 사람들은 삶이 불행해질 정도로 예민한 반응을 보입니다. 하지만 그럴 것이 아니라 균형 잡힌 견해를 가지려고 하십시오. 현실적인 견해를 갖는다면, 지나치게 부정적인 생각에 빠지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좌절하지 않고 문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폭풍 같이 힘든 일이 생겨도 좌절하지 마십시오. 시간이 지나면 폭풍은 잦아들고 다시 햇빛이 비칠 것입니다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실수나 잘못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좋은 일만 하고, 잘못을 전혀 저지르지 않는 의인은 이 세상에 하나도 없다.” (전도서 7:20, 표준새번역) 사람은 누구나 실수나 잘못을 저지릅니다. 그것 때문에 자신이 구제 불능이라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려면: 잘못을 고치려고 노력해야 하겠지만 자신에게 완벽을 기대하지는 마십시오. 케일러브라는 청소년은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잘못을 했을 때 그것 때문에 너무 자책하지 않으려고 해요. 그 대신 어떻게 하면 똑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보려고 하죠.”

  •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지 않는다.

     성경은 ‘자기중심적이 되어 서로 경쟁하지 말고 서로 시기하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갈라디아서 5:26) SNS에서 사진을 보다가 친구들이 당신을 빼놓고 놀았다는 것을 알게 되면 기분이 상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친한 친구들에게 배신감마저 들지 모릅니다.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려면: 친구들이 노는 자리에 매번 초대받기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생각입니다. 또한 SNS상의 사진이 다른 사람들의 생활을 다 보여 주는 것도 아닙니다. 알렉시스라는 청소년은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멋진 순간들만 SNS에 올리죠. 일상적이고 평범한 이야기는 빼고 말이에요.”

  •   가족을 포함해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려고 한다.

     성경은 ‘가능하다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대로 평화롭게 지내십시오’라고 말합니다. (로마서 12:18) 우리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일일이 통제할 수는 없지만 자신이 나타내는 반응은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사람들과 평화롭게 지내려고 노력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려면: 다른 사람과 사이가 나빠지면 다시 친해지려고 하지 않습니까? 식구들 사이에 문제가 있을 때도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 아니라 평화롭게 지내려고 노력하십시오. 십 대인 멜린다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죠. 그래서 우린 살면서 상처를 주고받을 수 밖에 없어요. 중요한 건 그럴 때 우리가 화를 낼 거냐 평화롭게 지내려고 할 거냐 하는 거죠.”

  •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다.

     성경은 “감사하고 있음을 나타내십시오”라고 말합니다. (골로새서 3:15) 감사하는 마음이 있으면 잘되고 있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일들 하나하나에 정신을 쏟는 것이 아니라 잘되고 있는 일들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려면: 자신이 겪는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되겠지만, 그런 문제 때문에 살면서 생기는 좋은 일들까지 그냥 지나쳐서도 안 됩니다. 리베카라는 여자 청소년은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매일 그날 있었던 좋은 일을 한 가지 적어 봐요. 그렇게 하면 나한테 나쁜 일만 아니라 좋은 일도 많이 있다는 걸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죠.”

  •   부정적인 친구가 있는지 생각해 본다.

     성경은 “나쁜 교제가 유익한 습관을 망칩니다”라고 말합니다. (고린도 전서 15:33) 비판적이고 냉소적인 사람들과 어울리다 보면 당신도 그러한 생각에 물들게 될 것입니다.

     현실적인 생각을 가지려면: 사람은 힘든 일을 겪으면 잠시 부정적인 생각에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런 친구가 있다면 도와주어야 하겠지만 그의 부정적인 생각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미셸은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친구들하고만 어울리는 일이 없게 조심해야 해요”라고 조언합니다.

 도움이 되는 자료

 성경은 우리가 “대처하기 어려운 위급한 때”에 살고 있다고 말합니다. (디모데 후서 3:1) 주위에서 부정적인 일이 너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긍정적인 생각을 유지하기가 어렵습니까? “고통스러운 일이 왜 이렇게 많습니까?”라는 내용을 읽어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