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예수를 믿으십시오”—예수를 믿기만 하면 무조건 구원을 받을 수 있습니까?

“예수를 믿으십시오”—예수를 믿기만 하면 무조건 구원을 받을 수 있습니까?

성경의 대답

 그리스도인은 예수께서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기 위해 돌아가셨다고 믿습니다. (베드로 전서 3:18) 하지만 예수를 구원자로 믿는다고 무조건 구원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악귀들도 예수께서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믿지만 구원받지 못하고 멸망될 것입니다.—누가복음 4:41; 유다서 6.

 구원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   예수께서 우리의 죄를 위해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셨다는 것을 믿는다. (사도행전 16:30, 31; 요한 1서 2:2) 그러려면 예수께서 실존 인물이셨으며, 그분에 관한 성경 기록이 모두 사실임을 믿어야 합니다.

  •   성경이 실제로 무엇이라고 가르치는지 배운다. (디모데 후서 3:15) 성경에 의하면, 사도 바울과 실라는 자신들이 갇혔던 감옥의 간수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주 예수를 믿으십시오. 그러면 구원을 받을 것입니다.’ 그 후 그들은 간수에게 “여호와의 말씀”을 a 가르쳤습니다. (사도행전 16:31, 32) 간수가 예수에 대해 진정한 믿음을 가지려면 하느님의 말씀을 배워서 성경에 근거한 정확한 지식이 있어야 했기 때문입니다.—디모데 전서 2:3, 4.

  •   회개한다. (사도행전 3:19) 회개한다는 것은 과거 자신의 잘못된 사고방식과 행동을 깊이 뉘우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느님이 싫어하시는 일을 중단하고 “회개에 합당한 일”을 함으로 다른 사람들도 당신이 회개했다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게 해야 합니다.—사도행전 26:20.

  •   침례받는다. (마태복음 28:19) 예수께서는 자신의 제자가 되기 위해서는 침례를 받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간수도 침례를 받았습니다. (사도행전 16:33) 또한 사도 베드로가 수많은 군중에게 예수에 관한 진리를 가르친 뒤에 “그의 말을 기쁘게 받아들인 사람들은 침례를 받았습니다.”—사도행전 2:40, 41.

  •   예수의 말씀에 순종한다. (히브리서 5:9) 구원을 받기 위해서는 예수가 명령한 “모든 것을 지킴”으로 자신이 그분의 제자임을 생활 방식 전체를 통해 나타내야 합니다. (마태복음 28:20) “말씀을 행하는 사람이 되고, 듣기만 하”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야고보서 1:22.

  •   끝까지 인내한다. (마가복음 13:13) 예수의 제자들은 구원받기 위해 “인내가 필요합니다.” (히브리서 10:36) 예를 들어, 사도 바울은 예수의 가르침에 철저히 순종하고 하느님께 충성을 지켰습니다. 그는 그리스도인이 된 때로부터 죽을 때까지 인내하며 계속 그러한 삶을 살았습니다.—고린도 전서 9:27.

 “죄인의 기도”를 하는 것이 구원을 가져다줍니까?

 일부 종교에서는 특정한 기도문을 암송하는데 그중에는 “죄인의 기도”나 “구원의 기도”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흔히 그러한 기도문에는 우리가 죄인이며 예수께서 우리의 죄를 위해 돌아가셨다는 신앙을 고백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또한 예수께 우리의 마음이나 삶 속에 임해 달라고 부탁하는 내용도 들어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에는 정형화된 “죄인의 기도”가 나오지 않으며 그러한 기도를 하라고 가르치지도 않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죄인의 기도”를 하면 영원한 구원이 보장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단지 기도를 하는 것만으로 우리의 구원이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이기 때문에 계속 실수를 합니다. (요한 1서 1:8) 그래서 예수께서는 우리가 죄의 용서를 위해 계속 기도해야 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누가복음 11:2, 4) 그에 더해, 영원한 구원을 받을 전망이 있었던 그리스도인이 하느님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그러한 전망을 잃게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히브리서 6:4-6; 베드로 후서 2:20, 21.

 “죄인의 기도”는 어디에서 기원한 것입니까?

 “죄인의 기도”의 기원에 관해서는 역사가들의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운동 때 이 관습이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가 하면 18세기와 19세기에 새로운 종교 운동이 진행되던 때에 “죄인의 기도”가 시작되었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누구의 주장이 사실이든, “죄인의 기도”는 성경에 근거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성경의 가르침에 어긋납니다.

a 여호와는 성경에 나오는 하느님의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