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차례 바로 가기

행복한 가정을 위해 | 결혼 생활

배우자의 부모 때문에 힘들 때

배우자의 부모 때문에 힘들 때

무엇이 문제인가?

“우리 둘 사이에 문제가 생기면 아내는 자기 부모님한테 이야기를 했죠. 그럼 장인어른은 나한테 전화를 해서 이런저런 조언을 하셨어요. 그럴 때면 정말 짜증이 났죠!”—제임스. *

“시어머니는 입버릇처럼 ‘우리 아들이랑 같이 살 때가 정말 좋았는데!’ 하고 말씀하세요. 어머님이 그이랑 사이가 얼마나 좋았는지 얘기하실 때마다 우리가 결혼한 것 때문에 많이 섭섭해하시는 것 같아서 죄송스러울 정도예요!”—나타샤.

어떻게 하면 배우자의 부모와 겪는 문제 때문에 부부 사이에 금이 가는 일을 막을 수 있습니까?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결혼을 하면 새로운 가정을 이루게 된다. 성경에서는 남자가 결혼하면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에게 고착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아내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성경에서는 여자가 결혼하면 남편과 “한 몸”이 된다고 알려 줍니다. 그렇게 해서 두 사람은 새로운 가정을 이루게 됩니다.—마태복음 19:5.

부모보다 배우자를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결혼 생활 상담가인 존 M. 가트맨은 “부부가 일심동체가 되는 것이 결혼의 근본적인 이념”이라고 하면서 “일심동체인 가정을 이룩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키워 준 부모의 가정과 결별을 의미한다”고 기술했습니다. *

달라진 상황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부모도 있다. 한 젊은 남편은 이렇게 말합니다. “결혼 전에 제 아내는 항상 부모님 말씀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그런데 결혼하고 나서는 그렇지 않으니까 장모은 그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셨죠.”

신혼부부이 달라진 상황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에서 언급한 제임스는 이렇게 말합니다. “친구는 내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지만 배우자의 부모님은 그런 게 아니죠. 마치 누군가가 낯선 두 사람을 데려오더니 ‘자, 새로운 친구이야. 맘에 들진 모르겠지만 잘 지봐’라고 하는 것과 같죠. 아무리 힘들게 하셔도 이젠 가족이니까 어쩌겠어요!”

어떻게 할 수 있는가?

부모가 관련된 일에서 의견이 맞지 않을 때는 배우자와 내가 한이라는 생각으로 문제에 접근해야 합니다. “평화를 찾아 그것을 추구”하라는 성경의 조언을 따르십시오.—시편 34:14.

이제 아래에 나오는 몇 가지 상황을 생각해 보십시오. 남편 입장에서 본 상황도 있고 아내 입장에서 본 상황도 있지만, 사실 양쪽 모두가 겪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제시된 원칙을 적용하면 부모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내가 자기 어머니와 좀 잘 지내보라고 당신에게 말한다. 하지만 당신은 아내의 어머니가 불편하게 느껴진다.

이렇게 해 보십시오: 아내와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기꺼이 양보하려고 하십시오. 아내의 어머니에 대한 감정이 아니라, 당신이 사랑하겠다고 서약한 사람 즉 아내에 대한 감정에 초점을 맞추십시오. 배우자의 어머니와 더 잘 지낼 수 있는 한두 가지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 이야기를 나눠 보고 그 방법을 실천에 옮기십시오. 당신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내는 분명 당신을 더 존경하게 될 것입니다.—성경 원칙: 고린도 전서 10:24.

당신이 친정 부모만 신경 쓰고 배우자에게는 무관심하다고 남편이 불평한다.

이렇게 해 보십시오: 남편과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남편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십시오. 물론 당신이 친정 부모에게 자녀로서의 도리를 다하는 것뿐인데 남편이 불만을 갖는 것이라면 그것은 올바른 일이 아닙니다. (잠언 23:22) 하지만 남편을 안심시켜 주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이 부모보다 배우자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말과 행동으로 보여 주십시오. 그렇게 한다면 남편은 당신을 두고 당신의 부모와 경쟁을 해야 한다고 느끼지 않을 것입니다.—성경 원칙: 에베소서 5:33.

아내가 당신이 아니라 친정 부모에게 조언을 구한다.

이렇게 해 보십시오: 아내와 대화를 나누면서, 함께 이 문제에 대해 한계를 정하십시오. 합리적이 되기 위해 노력하십시오. 부모와는 어떤 문제상의해서는 안 됩니까? 부모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는 언제입니까? 두 사람이 함께 합리적인 한계를 정한다면 이 문제가 심각한 불화로 이어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성경 원칙: 빌립보서 4:5.

^ 4항 이 기사에 나오는 이름은 가명임.

^ 9항 출처: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