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성경 구절 이해하기

시편 37:4—“주님 안에서 즐거워하여라”

시편 37:4—“주님 안에서 즐거워하여라”

 “여호와 안에서 더없이 기뻐하여라. 그분이 네 마음의 소원을 들어주실 것이다.”—시편 37:4, 신세계역.

 “주님 안에서 즐거워하여라. 그분께서 네 마음이 청하는 바를 주시리라.”—시편 37:4, 성경(가톨릭판).

시편 37:4의 의미

 시편 필자는 하느님을 섬기는 사람들에게 그분과 친밀한 우정을 누리는 데서 기쁨을 찾으라고 권합니다. 여호와 a 하느님과 그러한 우정을 누리는 모든 사람은 그분이 자신들의 합당한 소원을 들어주실 것임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여호와 안에서 더없이 기뻐하여라.” 이 표현은 “여호와 안에서 가장 큰 기쁨을 찾아라”, “주를 섬기는 데서 기쁨을 찾아라” 또는 “주께서 당신에게 하신 약속에서 기쁨을 찾아라”로도 번역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 말씀은 참하느님을 섬기는 데서 “가장 큰 기쁨을 찾으라”는 것입니다. (시편 37:4, 각주) 어떻게 그것이 가능합니까?

 여호와를 섬기는 사람들은 성경에 밝혀져 있는 그분의 관점으로 사물을 봅니다. 그들은 하느님을 알 뿐 아니라 지혜롭게도 하느님께 순종하는 생활을 합니다. 그 덕분에 그들은 깨끗한 양심을 가지고 살며 잘못된 행동으로 인한 나쁜 결과들을 겪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잠언 3:5, 6) 예를 들어, 그들은 탐욕스럽거나 부정직한 사람들이 잘되는 것처럼 보일 때에도 분노나 시기심에 휩싸이지 않습니다. (시편 37:1, 7-9) 하느님의 백성은 그분이 머지않아 모든 불공정을 끝내고 선하게 사는 충실한 사람들에게 상을 주실 것임을 알기 때문에 행복합니다. (시편 37:34) 또한 그들은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 자신을 좋게 여기신다는 것을 아는 데서 큰 기쁨을 느낍니다.—시편 5:12; 잠언 27:11.

 “그분이 네 마음의 소원을 들어주실 것이다.” 이 표현은 “그분이 당신의 기도에 응답하실 것이다”나 “그분이 당신의 간절한 소원을 들어주실 것이다”로도 번역될 수 있습니다. 물론 여호와께서는 우리가 청하는 모든 것을 다 들어주지는 않으십니다. 여호와께서는 좋은 부모처럼 자신의 자녀들에게 무엇이 가장 유익한지를 아십니다. 또한 우리는 그분의 뜻과 표준에 맞게 기도하고 생활해야 합니다. (잠언 28:9; 야고보서 4:3; 요한 1서 5:14) 우리가 그렇게 한다면, “기도를 들으시는 분”께 말씀드릴 때 그분이 들어 주실 것임을 확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시편 65:2; 마태복음 21:22.

시편 37:4의 문맥

 시편 37편을 쓴 사람은 고대 이스라엘의 다윗왕입니다. 그는 알파벳순으로 시를 짓는 이합체시 형식 b으로 이 시를 썼습니다.

 다윗은 불공정한 일을 많이 겪었습니다. 그는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 사울왕과 적들에게 쫓겨 다녔습니다. (사무엘하 22:1) 하지만 다윗은 언제나 하느님을 전적으로 신뢰했습니다. 다윗은 때가 되면 여호와께서 악한 사람들에게 책임을 물으실 것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시편 37:10, 11) 악한 사람들이 잘되는 것 같아 보여도, 결국 그들은 “푸른 풀처럼” 시들어 버릴 것이었습니다.—시편 37:2, 20, 35, 36.

 시편 37편은 하느님의 표준을 따르는 사람들과 그 표준을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각각 어떤 결과가 있는지를 대조합니다. (시편 37:16, 17, 21, 22, 27, 28) 따라서 이 시편은 우리가 지혜를 얻고 하느님께서 좋게 여기시는 사람이 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시편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짧은 동영상을 보시기 바랍니다.

a 여호와는 히브리어로 된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한국어 음역 표현입니다. 많은 성경 번역판에서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 대신에 ‘주’라는 칭호를 사용하는 이유를 알아보려면 “여호와는 누구입니까?” 기사를 읽어 보세요.

b 이합체시는 첫 소절이나 처음 몇 소절을 히브리어 알파벳의 첫 글자로 시작하고 다음 소절은 그 다음 글자로 시작하는 방식으로 시를 쓰는 것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형식은 시를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