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차례 바로 가기

 우연의 산물인가?

말꼬마거미가 치는 거미줄의 비밀

말꼬마거미가 치는 거미줄의 비밀

미국의 말꼬마거미(Parasteatoda tepidariorum)가 치는 거미줄은 그 접착 방식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벽과 연결된 부분은 아주 강하게 붙어 있습니다. 반면에 바닥에 붙은 부분약해서 쉽게 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미줄이 스프링 달린 덫처럼 작동하여, 기어 다니는 먹이를 낚아챌 수 있습니다. 이 거미는 한 가지 접착 물질을 사용하는데, 어떻게 거미줄을 강하게 접착시킬 수도 있고 약하게 접착시킬 수도 있습니까?

스캐폴딩 구조로 친 거미줄

생각해 보십시오: 거미는 벽이나 천장과 같은 표면에 실을 집중적으로 엮어 단단히 접착시켜서, 거미줄을 칠 고정점으로 삼습니다. 실이 한데 엮여 있는 이 부분을 스캐폴딩 디스크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접착력이 매우 강해서 날아다니는 먹이가 거미줄에 걸려도 끊어지지 않습니다. 한편, 미국 오하이오 주 애크런 대학교의 연구원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이 거미가 실을 엮어 바닥에 붙이는 부분은 완전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검풋 디스크라고 하는 이 부분은 스캐폴딩 디스크보다 표면과 닿는 접착점이 훨씬 더 적습니다. 그래서 기어 다니는 먹이가 거미줄에 발을 들여놓으면, 거미줄이 바닥에서 쉽게 떨어지면서 먹이를 순식간에 공중으로 낚아 올립니다.

검풋 구조로 친 거미줄

애크런 대학교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이 자연의 신비를 밝혀낸 연구가은 “말꼬마거미가 사용하는 지능적인 설계 방식을 모방하여 합성 접착제를 개발하는 일에 이미 착수”했습니다. 과학자은 일반적인 반창고에도 사용하고 골절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를 만들기를 희망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한 가지 접착 물질을 사용해서 고정점의 접착력을 강하게 할 수도 있고 약하게 할 수도 있는 말꼬마거미의 능력은 진화된 것입니까? 아니면 설계된 것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