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바로 가기

차례 바로 가기

우연의 산물인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떠돌이앨버트로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떠돌이앨버트로스

활공하는 새은 최소한의 힘으로 공중에 떠 있을 수 있습니다. 떠돌이앨버트로스는 활공 능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날개를 펼친 길이가 3.4미터에 달하고 무게가 거의 8.5킬로그램이나 나가는 이 새는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엄청난 거리를 날아갈 수 있습니다! 그 비결은 바로 이 새의 구조와 활공 기술에 있습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비행 중에 앨버트로스는 특별한 힘줄을 사용하여 날개를 완전히 펼친 상태로 고정시켜 근육을 쉬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새가 장시간 동안 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비결은 대양의 바람을 능숙하게 이용하는 것입니다.

바다 위로 비행할 때 이 새는 포물선을 그리며, 상승했다가 방향을 바꾸었다가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공기 저항을 받으면서도 속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과학자은 최근에 와서야 이 새가 어떻게 그렇게 하는지를 알아냈습니다. 고해상도 추적 기기와 특수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앨버트로스가 포물선의 윗부분에서 바람을 마주 보고 날다가 등지는 쪽으로 선회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과학자은 이 새가 “에너지를 얻어 내는” 과정이 “매끄럽고 끊김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 결과 여러 시간 동안 날개 한 번 퍼덕이지 않고 활공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떠돌이앨버트로스의 활공 기술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공학자이 에너지 효율이 더 높은, 어쩌면 엔진 동력이 없는 비행체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앨버트로스의 특수한 구조와 비행 기술은 진화된 것입니까? 아니면 설계된 것입니까?